본문 바로가기

320x100
스패닝 트리 3

반응형
Spanning Tree Protocol(STP) 쉽게 이해하기 #4 Spanning Tree Protocol(이하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이 활성화된 스위치의 포트는 '역할(Role)'과' 상태(State)'를 모두 갖습니다. 이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이해가 쉽습니다. 지난 문서에서는 포트의 상태의 정의와 전송(루트 포트, 지정 포트) 상태 / 차단(블락 포트)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이어서 이 문서에서는 스위치 간 링크가 끊어질 때 포트의 역할과 상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그렇기에 스위치 간 연결이 끊어진 경우와 스위치 간 연결이 다시 연결된 경우를 살펴볼 예정입니다. 여기서 볼 주안점은 차단 상태(블락 포트)에 있는 스위치의 역할(Role)과 상태(State)의 변화입니다.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차단 상태(블락 포트)를 보유한.. 2021. 11. 1.
Spanning Tree Protocol(STP) 쉽게 이해하기 #3 이전 문서에서는 포트의 '역할(Role)'에 대해서 정의했다면 이 문서에서는 포트의 '상태(State)'에 대해 알아봅니다. 스패닝 트리 내에서 포트는 '역할'과' 상태'를 모두 갖습니다. 이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이해가 쉽습니다. 지난 문서에서 Spanning Tree Protocol(이하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이 활성화되면 각 포트는 '역할(Role)'을 갖게 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Root Port(이하 루트 포트)', 'Designated Port(이하 지정 포트)', 'Alternated Port(이하 블락 포트)'가 바로 그것입니다. 루트 포트는 Root Bridge(이하 루트 브릿지)로 향하는 가장 가까운 포트를 의미하고, 지정 포트는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포워딩 포트, 블락 포트는 논.. 2021. 10. 15.
Spanning Tree Protocol(STP) 쉽게 이해하기 #2 지난 문서에서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일선의 실무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박스형 네트워크 구조와 그로 인한 브로드캐스트 폭풍의 발생,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해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사용한다고 말씀드렸죠. 일명 Loop(이하 루프)가 도는 것을 막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동작 과정은 2가지로 나뉜다고도 말씀드렸습니다. 동작 과정 1> Root Switch, Non Root Switch 선출 동작 과정 2> Root / Designated / Alternated Port(이하 루트 / 지정 / 블락 포트) 선출 먼저 동작 과정 1에 해당하는 스패닝 트리 구조 내에서 Root Switch(이하 루트 스위치)로 선정될 스위치를 찾습니다. 루트 스위치는 스패닝 트리.. 2021.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