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자격증 취득을 원하는 분들은 꼭 아래 3개 글을 확인하세요!
최신글
-
Spanning Tree Protocol(STP) 쉽게 이해하기 #2
지난 문서에서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일선의 실무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박스형 네트워크 구조와 그로 인한 브로드캐스트 폭풍의 발생,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해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사용한다고 말씀드렸죠. 일명 Loop(이하 루프)가 도는 것을 막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스패닝 트리 구성 과정은 2가지로 나뉜다고도 말씀드렸습니다. 동작 과정 1> Root Switch, Non Root Switch 선출 동작 과..
2021.04.17
-
L4/L7 로드밸런싱 쉽게 이해하기
이번 문서 'L4 스위치 쉽기 이해하기'와 '서버 부하 분산 쉽게 이해하기', 'L4/L7 로드밸런싱 쉽게 이해하기'는 L4/L7 Network Swtich인 'F5 Networks' 장비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Alteon(Radware), Brocade, Cisco, Piolink, Pumkin, Citrix의 관점에서는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서버 부하분산과 L4 스위치에 관한 마지막 이야기인 'L4/L7 Load Balancing(이하 L4/L7 로드밸런싱)'입니다. 지금까지는 L4/L7 Virtual Server의..
2021.03.28
-
AWS Application Load Balancer 쉽게 이해하기 #2
지난 문서에 이어서 계속해서 ALB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ALB의 구성요소인 리스너 / 규칙 / 대상그룹과 라우팅(부하분산) 규칙을 상세하게 설명합니다. 또한 ALB의 기타 기능에 대해서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Application Load Balancer의 구성 요소 ALB에는 크게 3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먼저 사용자에게서 요청을 받아들여 이 요청을 처리할 적절한 대상그룹으로 전달하는 리스너, 어느 대상그룹..
2021.03.15
-
L4 스위치 쉽게 이해하기 #10
이번 문서 'L4 스위치 쉽기 이해하기'와 '서버 부하 분산 쉽게 이해하기', 다음에 이어질 문서인 'L4/L7 로드밸런싱 쉽게 이해하기'는 L4/L7 Network Swtich인 'F5 Networks' 장비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Alteon(Radware), Brocade, Cisco, Piolink, Pumkin, Citrix의 관점에서는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 베이스 등과 같은 IT 인프라(IT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정보 기술 구성 요소 집합)에서 장애는 매..
2021.03.02
-
Spanning Tree Protocol(STP) 쉽게 이해하기 #1
이 글에서는 Interface(인터페이스), Port(포트) 이 두 단어를 혼용합니다. 의미는 동일합니다. 백본 스위치 backbone 1. 척추, 등뼈 2. 근간, 중추 3. 기개, 근성 -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 Backbone(이하 백본)의 사전적 정의는 척추입니다. 인간의 신체에서 보면 손과 발, 눈, 귀 등에서 수집된 정보는 백본(척추)을 통해 뇌로 가고 뇌에서 각 신체로 하달하는 명령 또한 백본(척추)을 통해 갑니다. 백본(척추)이 없다면..
2021.02.20
-
AWS Application Load Balancer 쉽게 이해하기 #1
Application Layer 사용자가 UI로 접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계층으로 HTTP,FTP,DHCP,SMTP,DNS 등이 있습니다. 여기에 속한 프로토콜들은 어떠한 방법으로든 사용자와 직접 접하게 됩니다. 출처: OSI 7 Layer 쉽게 이해하기 [네트워크 엔지니어 환영의 AWS 기술블로그] Application Layer는 OSI 7 Layer 중 최상단 계층에 해당하는 Layer입니다. 위 설명처럼 사용자와 직접 접하는 계층이죠. 여러분이 이 블로그를 접속할..
2021.02.07
-
L4 스위치 쉽게 이해하기 #9(2)
이번 문서 'L4 스위치 쉽기 이해하기'와 '서버 부하 분산 쉽게 이해하기', 다음에 이어질 문서인 'L4/L7 로드밸런싱 쉽게 이해하기'는 L4/L7 Network Swtich인 'F5 Networks' 장비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Alteon(Radware), Brocade, Cisco, Piolink, Pumkin, Citrix의 관점에서는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지난 문서에 이어서 L4 스위치의 네트워크 구성에 대해 계속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 다룰 네트워크 구성은 'D..
2021.01.27
-
L4 스위치 쉽게 이해하기 #9(1)
이번 문서 'L4 스위치 쉽기 이해하기'와 '서버 부하 분산 쉽게 이해하기', 다음에 이어질 문서인 'L4/L7 로드밸런싱 쉽게 이해하기'는 L4/L7 Network Swtich인 'F5 Networks' 장비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Alteon(Radware), Brocade, Cisco, Piolink, Pumkin, Citrix의 관점에서는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에 이야기할 주제는 L4 스위치의 네트워크 구성에 관한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L4 스위치의 네트워크 구성이란 L4..
2021.01.15
-
L4 스위치 쉽게 이해하기 #8
이번 문서 'L4 스위치 쉽기 이해하기'와 '서버 부하 분산 쉽게 이해하기', 다음에 이어질 문서인 'L4/L7 로드밸런싱 쉽게 이해하기'는 L4/L7 Network Swtich인 'F5 Networks' 장비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Alteon(Radware), Brocade, Cisco, Piolink, Pumkin, Citrix의 관점에서는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에 이야기할 주제는 Health Check(이하 헬스 체크), Connection(이하 커넥션) 그리고 Persistence(이하 Sticky, 스티..
2021.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