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pplication Gateway 데모 생성
- 웹트래픽 부하 분산 목적의 로드밸런서
- HTTP와 HTTPS에 대한 부하분산 기능을 제공함
- Tier(SKU)
- Standard V2, WAF V2, Standard(사용 중단), WAF(사용 중단)
- Autoscaling 활성화 가능
- WAF 사용시 Firewall mode 선택 가능
- Detection, Prevention, SQL-injection, Cross-site scripting 공격 방어
- HTTP2 활성화 가능
- Frontend IP는 Public IP, Private IP, Public IP + Private IP 모두 사용 가능
- Backend pool의 대상은 VM, VMSS, app service, IP address, FQDN 사용 가능
- Load Balancer와 달리 VM, VMSS뿐만 아니라 다양한 대상을 로드밸런싱 대상으로 사용 가능
- Public IP가 있는 AWS 인스턴스 또한 부하분산 대상으로 지정 가능하다는 뜻
- Routing rule
- HTTP 혹은 HTTPS 선택 가능하며 포트 번호 또한 변경 가능
- Cookie-based affinity, Connection draining 사용 가능
- Request timeout은 기본 20초
HTTP 헤더 재작성
- Appliation Gateway의 Rewrite rule, HTTP header를 삽입(set)하거나 삭제(delete)할 수 있음
- Rule인만큼 규칙의 순서가 있고 순서대로 적용
- Request header, Respone header, URL에 적용 가능
- Common header 설정뿐만 아니라 Custom header 또한 생성하여 적용 가능
Application Gateway Autoscaling
- Application Gateway의 Size를 자동 확장하는 기능
- Application Gateway가 유입되는 트래픽의 양을 따라잡지 못 할 경우, Size를 자동확장해 수용 가능
- Configuration 항목에서 설정 가능하며, Autoscale과 Manual로 나뉨
- Autoscale : 여분의 Application Gateway를 Minimum, Maximum 숫자 내에서 확장
- Manual : 여분의 Application Gateway를 정한 숫자 내에서 확장
반응형
'Azure 자격증 쉽게 공부하기 > Azure Network Engineer Associate(AZ-7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700 기본 #12, Front Door & Traffic Manager (0) | 2025.05.10 |
---|---|
AZ-700 기본 #10, Azure Load Balancer (0) | 2025.04.28 |
AZ-700 기본 #9, Azure Routing (0) | 2025.04.15 |
AZ-700 기본 #8, Virtual WAN (0) | 2025.04.14 |
AZ-700 기본 #7, Virtual Network Peering (0) | 2025.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