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0x100 지정 포트 1 반응형 Spanning Tree Protocol(STP) 쉽게 이해하기 #2 지난 문서에서는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일선의 실무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박스형 네트워크 구조와 그로 인한 브로드캐스트 폭풍의 발생,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해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사용한다고 말씀드렸죠. 일명 Loop(이하 루프)가 도는 것을 막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동작 과정은 2가지로 나뉜다고도 말씀드렸습니다. 동작 과정 1> Root Switch, Non Root Switch 선출동작 과정 2> Root / Designated / Alternated Port(이하 루트 / 지정 / 블락 포트) 선출먼저 동작 과정 1에 해당하는 스패닝 트리 구조 내에서 Root Switch(이하 루트 스위치)로 선정될 스위치를 찾습니다. 루트 스위치는 스패닝 트리 구.. 2021. 4.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