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엔지니어 환영의 기록 184

반응형
SOA #7, Elastic and Scalability -1 Elastic and Scalability Elasticiy : 탄력성, 수요에 따라 필요할 땐 늘어나고 필요없을 땐 줄어드는 특성 Scalability vs Elastcity EC2 Scalability : 예약 인스턴스를 이용하여 인스턴스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것 Elasticity : Autoscaling에 기반하여 EC2의 숫자를 늘리는 것 DynamoDB Scalability : 무제한의 스토리지와 처리량 Elasticity : 트래픽 폭증시 IOPS(읽기/쓰기 용량)를 추가 증설하는 것이고, 감소 후에 그 수를 줄이는 것 On-demand Mode : AWS에 의해 자동으로 워크로드에 따른 읽기/쓰기 용량 조절 Provisioing Mode : 초당 읽기/쓰기 용량 지정 가능, Autoscali.. 2020. 7. 1.
ARP 쉽게 이해하기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은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bind)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는 이더넷 또는 토큰링의 48 비트 네트워크 카드(NIC) 주소를 뜻한다. - 출처 : 위키백과 -ARP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IP 주소를 MAC 주소와 매칭시키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ARP를 사용하는 이유는 로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에서 단말과 단말 간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 주소와 함께 MAC 주소를 이용하게 되는데, IP 주소를 MAC Address와 매칭하여 목적지 IP의 단말이 소유한 MAC 주소를 향해 제대로 .. 2020. 6. 27.
L4 스위치 쉽게 이해하기 #2(Traffic Flow) 이번 문서 'L4 스위치 쉽기 이해하기'와 '서버 부하 분산 쉽게 이해하기', 다음에 이어질 문서인 'L4/L7 로드밸런싱 쉽게 이해하기'는 L4/L7 Network Swtich인 'F5 Networks' 장비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Alteon(Radware), Brocade, Cisco, Piolink, Pumkin, Citrix의 관점에서는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 문서에서는 사용자가 L4 스위치를 액세스 할 때의 트래픽 플로우는 어떻게 되는지 그에 따른 L4 로드밸런싱과 L7 로드밸런싱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L4 스위치는 단순히 Layer 4를 이용하여 로드밸런싱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는 프로토콜인 Layer 7까지 제어하며 로드밸런싱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2020. 6. 21.
SOA #6, Deployment & Provisioning - 2 Elastic Load Balancer NLB은 다른 로드밸런서에 비해 낮은 지연시간을 보여주어 성능에 극대화되어있음(중요!!) CLB는 HTTP/HTTPS LB 및 X-Forwared-for와 sticky session을 위해 사용됨 제한된 L4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TCP 사용 가능) Pre-warming 기능을 사용해 미리 확장 가능 시작과 종료 날짜, 초당 요청 예측, 전형적인 요청의 사이즈 필요 ALB는 워크로드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규모를 확장하지만 source-IP ALB IP로 변경됨 NLB는 서브넷별로 static IP를 부여받으며 IP를 고정시킬 수 있음 ELB Error Messages ALB, CLB는 기본적으로 성공 응답이 200 OK임 실패한 request는 4xx, 5xx er.. 2020. 6. 20.
Virtual Private Cloud(VPC) 쉽게 이해하기 #5 이번 문서에서 다룰 주제는 VPC Endpoint입니다. VPC 내 Resource들이 VPC 외부의 서비스(S3, Dynamo DB, Cloudwatch) 등에 접근할 때 Internet Gateway, NAT Gateway 등의 외부 인터넷 전송 서비스를 타지 않고 아마존의 백본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VPC Endpoint는 왜 필요한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AWS VPC는 사설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사용자 정의 네트워크입니다. VPC 내 EC2, RDS, ELB 등을 탑재하고 ENI(Elastic Network Interface)에 사설 IP 혹은 공인 IP를 부여하여 사용하지요. S3, Cloudwatch, Cloudfront, Dynamo DB, API Gat.. 2020. 6. 12.
Virtual Private Cloud(VPC) 쉽게 이해하기 #4 앞서 VPC와 Network 쉽게 이해하기 #3 문서에서 VPC와 Subnet은 AWS 계정의 사설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각종 서비스들을 탑재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서비스들의 트래픽이 지나다는 곳인 만큼 트래픽에 대한 제어와 통제, 확인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번 문서에서는 VPC의 트래픽을 통제하고 제어하는 서비스들과 트래픽의 흐름을 기록하는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Security Group, Network ACL, VPC FLow Logs입니다. 이 3가지 요소는 VPC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들이므로 자세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익숙해지면 매우 편리한 서비스이지만 처음 볼 땐 매우 헷갈려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확실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그림은 VPC를 도식화한 .. 2020. 6.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