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엔지니어 환영의 기록 183

반응형
Virtual Private Cloud(VPC) 쉽게 이해하기 #1 VPC(Virtual Private Cloud) Amazon Virtual Private Cloud(Amazon VPC)에서는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 네트워크로 AWS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 가상 네트워크는 AWS의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사용한다는 이점과 함께 고객의 자체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기존 네트워크와 매우 유사합니다. 출처 : AWS VPC 설명서 AWS와 네트워크를 처음 접해보시는 분이 위의 정의를 접한다면 무슨 말인지 알쏭달쏭할 것 같습니다. 문서로 읽자니 답답하고 AWS Console을 통해 들어가 많은 옵션을 누르다 보면 지치기 마련이죠. 그렇다고 또 안 볼 수는 없습니다. 2011년 VPC 출시 이후 EC2-Classic Platform(VPC 출시 전의 네트워크)의 사용이.. 2020. 3. 31.
HTTPS 통신과정 쉽게 이해하기 #4(Cipher Suite, 암호문의 집합) 이 문서에서 Cipher Suite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합니다. 그 전에 HTTPS 통신과정 쉽게 이해하기 #3(SSL Handshake, 협상과정)에서 언급한 Cipher Suite를 다시 정리해보겠습니다. 1. SSL Handshake는 암호화 알고리즘 결정과 대칭키(비밀키) 전달을 위해 사용 2. SSL Handshake의 첫 단계, Client가 'Client Hello'로 협상을 시작할 때 자신이 사용 가능한 'Cipher Suite'를 쭉 나열 3. Server가 'ServerHello'를 통해 자신이 고른 'Cipher Suite'를 전달 SSL Handshake의 첫 협상 단계인 'Client Hello'와 'Server Hello'에서 'Cipher Suite'가 가장 먼저 언급되.. 2020. 3. 26.
HTTPS 통신과정 쉽게 이해하기 #3(SSL Handshake, 협상) 고대 그리스에서는 타인에게 노출되어서는 안 될 중요한 정보를 보낼 때, 전달하는 이(사자)의 머리를 빡빡 깎아서 중요한 정보를 적은 후 머리가 자라서 글이 보이지 않으면 그제야 상대방에게 보냈다고 합니다. 그리하게 되면 그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정보를 볼 수 없고 사실을 아는 수신자는 다시 머리를 깎은 후 정보를 볼 수 있을 테니까요. 이 암호 기법을 스테가노그래피라고 합니다. 그 당시로서는 정말 획기적인 방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누가 두피에 글을 적어서 보낼 거라고 예상을 할까요? 물론 머리가 다 자라라면 한참 걸린다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들키지 않는 데는 이만한 방법이 없는 것 같습니다. 그만큼 중요한 정보를 안전하게 보내는 것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이겠지요. 세 번째 그림에서 보니 동그라미 속 수신자는.. 2020. 3. 23.
HTTPS 통신과정 쉽게 이해하기 #2(Key가 있어야 문을 열 수 있다) HTTPS 통신과정 쉽게 이해하기 #1(HTTPS의 개요)에서 'SSL 인증서'를 이용하여 웹브라우저와 서버가 서로를 신뢰하고 통신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제 조금 더 깊게 들어가 어떻게 SSL 인증서를 생성하는지, 웹브라우저는 이 SSL 인증서가 어떻게 진짜임을 알게 되는지, 웹브라우저와 서버는 데이터를 어떻게 암호화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암호화, 복호화, 공개키, 개인키 등에 대한 개념을 확실히 잡고 넘어가야 합니다. 이 개념들이 확실히 잡히지 않으면 이해가 되지 않고 더욱 어렵게 느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암호화 데이터를 알아볼 수 없는 모습으로 변경하여 감추는 것을 암호화라고 합니다. HTTPS에서는 후술할 'Key'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복호화 암호화된.. 2020. 3. 21.
HTTPS 통신과정 쉽게 이해하기 #1(HTTPS란 무엇인가) 약 3년 전, 구글 크롬은 암호화되지 않은 모든 사이트(HTTP)에 대해 '안전하지 않음' 표시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웹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통신의 암호화를 의무로 하여 보다 안전한 통신을 추구하고자 하는 듯합니다. 여러분들도 크롬을 사용하여 사이트에 접속하면 사이트 주소 왼편에 자물쇠를 눌러 안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브라우저와 서버는 어떻게 암호화 통신을 하는 것일까요? 그 과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HTTPS HTTPS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HTTP over TLS, HTTP over SSL, HTTP Secure)는 월드 와이드 웹 통신 프로.. 2020. 3. 20.
SSL/TLS #4, Forward Secrecy와 디피 헬만 키교환 방식, RSA 키교환 방식 Diffie-Hellman Key Exchange Diffie와 Hellman이 1976년도에 발표한 비밀키 교환 방식 Client와 Server가 각자 선택한 정수와 소수를 이용하여 비밀키를 만들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 즉, 비밀키를 교환하는 것이 아닌 키를 만들 재료를 교환하는 방식 서로가 선택한 수를 가지고 비밀키를 만든다는 점에서 공개키/개인키가 필요하지 않음 키길이는 1024bit와 2048bit가 있으며 2048bit를 쓰는 것을 권고 DH, DHE, ECDHE가 있으며 DHE(2048bits), ECDHE를 쓰는 것이 가장 좋음 Key Exchange 방식 중에서 가장 권고되는 방식(ECDHE) RSA Key Exchange 공개키와 개인키를 통해 비밀키를 교환하는 방식 위의 Diffi.. 2020. 3. 20.